대박이의 이슈

SKT 유심 해킹 사고 무엇일까?

지식을 물어오는 대박이 2025. 4. 28. 22:00
반응형

1. SKT 유심 해킹 사고 무엇일까? 

SKT에서 유심(USIM) 해킹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통신 인프라의 핵심 시스템이 외부 공격에 노출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일부 가입자의 유심 관련 정보가 유출되었으며, 2차 피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SKT는 긴급 대응과 함께 유심 무료 교체, 보안 서비스 확대 등 후속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아래에서는 이번 사건의 경과와 SKT의 대응 방안을 시간순으로 정리해드립니다.

 


2. SKT 유심 해킹 사고 일지 (2025년 4월 기준)

✅ 4월 18일 (금)

  • 18:09: SKT 내부 시스템에서 이상 징후 최초 감지.
  • 23:20: 악성코드 발견 및 해킹 공격 사실 확인.

✅ 4월 19일 (토)

  • 01:40: 피해 장비 격리 조치.
  • 23:40: 유심 관련 일부 정보 유출 의심 정황 확인.

✅ 4월 20일 (일)

  • 16:46: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해킹 사고 공식 보고.

✅ 4월 22일 (화)

  • 10:02: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개인정보 유출 의심 정황 신고.

✅ 4월 24일 (목)

  • SKT, '유심 보호 서비스' 확대 발표.

✅ 4월 25일 (금)

  • 유영상 SKT 대표, 공식 사과 및 전 가입자 대상 유심 무료 교체 발표.

✅ 4월 28일 (월)

  • 전국 대리점에서 유심 무상 교체 시작.
  • 일부 매장에서는 유심 재고 부족으로 혼선 발생.
  • SKT 주가 해킹 사고 여파로 6.7% 하락.

 


3. 사고의 핵심 쟁점

  • 유출된 정보: 유심 고유식별번호(IMSI),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인증키 등.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은 유출되지 않음)
  • 보안 취약점: 홈가입자서버(HSS) 시스템 해킹.
  • 법적 대응 문제: 사고 발생 후 신고 지연으로 법적 책임 논란.
  • 2차 피해 우려: 복제폰 제작, 신원 도용, 금융사기 가능성 제기.

 

4. SKT의 대응 및 후속 조치

1) 긴급 대응

  • 해킹 징후 발견 직후, 관련 서버를 즉시 격리하고 추가 확산 방지.
  • 외부 보안 전문가 및 정부기관(KISA 등)과 공동 대응 체계 가동.

2) 고객 보호 조치

  • 유심 무료 교체: 전국 2,600여 개 대리점 및 고객센터를 통해 무상 교체 지원.
  • '유심 보호 서비스' 전면 무상 제공: 기존 유료 서비스를 전체 고객에게 무료 제공.
  • 본인 인증 강화: 유심 재발급 시 추가 본인 확인 절차 도입.

3) 정보 공개 및 소통

  • 피해 가능성 있는 고객에게 개별 문자 통지.
  • 홈페이지 및 뉴스룸에 FAQ 게시하여 신속 안내.

4) 향후 재발 방지 대책

  • 통신 인프라 전반에 대한 보안 점검 및 강화 작업 추진.
  • AI 기반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고도화.
  •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사이버 보안 자문위원회 설치 예정.

5) 법적, 행정적 대응

  • 관계기관 조사에 적극 협조.
  • 개인정보 유출 피해 발생 시 손해배상 방침 검토.

 


5. 마무리

이번 사고는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이 아니라, 통신 인프라 자체가 공격받은 심각한 사건입니다.
SKT는 초기 대응이 다소 미흡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지만, 이후 고객 보호와 보안 강화 조치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입자 여러분들도 스스로 개인정보 보호에 힘쓰는 한편, 필요한 경우 유심 교체 및 추가 보호 조치를 꼭 취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